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

온프레미스나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직접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안녕하세요! VM에서 직접 클러스터를 구축해보던 중에 이것을 쉘 스크립트로 자동화 해놓으면 새로운 프로젝트 및 클러스터 구축에 앞으로 편하지 않을까 싶어서 한 번 쉘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 시켜보는 것은 어떨까 싶어서 만들어보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쉘 스크립트를 진행하기 전 수행하는 단계VM 최소 요구사항 : CPUs 2, Memory 1736MB,CPU 아키텍처 arm64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환경 버전 : Ubuntu 24.04 LTS, kubeadm 1.30kubectl 관련 명령어는 root 유저 수준의 관리자만 명령어 권한이 있기 때문에 UTM VM으로 리눅스 인스턴스 생성한 후에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비밀번호 초기화로 변경한 후에 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관리자로 사용자 전환해준다.sud.. 2025. 9. 13.
[개인 프로젝트]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기 (1) 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갑자기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구축기 까지 한번 블로그에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 작년에 참여한 공모전에 다시 한 번 도전하게 되면서 날씨 정보를 이어 받아서 전송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팀원이 개발하고 저는 인프라 포지션을 맡아서 Server 구성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해서 직접 인프라에서 돌려보면서 궁금한 점이 많이 생겼고 나도 한 번 개발해볼까...? 싶은 생각에 개념만 무작정 찾아보면서 공부하는 것보다 AI 시대에 직접 구성 해보는 것이 더 머리에 잘 남고 기억 될 것 같아서 한 번 파이프라인을 구축해보자! 라는 생각에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데이터 파이프라인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다양한 소스에서.. 2025. 9. 3.
n8n - n8n은 무엇이고 왜 쓰는걸까? 안녕하세요! 복학으로 인한 블로그 글쓰기를 아주 미뤄버렸습니다.... 최근에는 CloudClub이라는 클라우드 연합 동아리에 들어가게 되어서 학교 공부와 동아리 스터디까지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스터디 내용은 github에 간간히 올리는 중이지만 스터디를 하던 중 n8n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어서따로 블로그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n8n의 자세한 설명에 대한 블로그는 아니고 진짜 왜 쓰는지?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정리한 포스트 입니다.) 요즘 클라우드, DevOps 등의 직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키워드가 바로 "자동화"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회사를 다니지 않는 저에게 자동화가 왜 중요한지? 어떤 효율을 높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간단한 "예시"로 설명을 하자면 매일마다 해야하.. 2025. 4. 13.
Munggae Project 세 번째 키워드: Monitoring Munggae Project 세 번째 키워드는 바로 모니터링 입니다. 모니터링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찰 및 분석을 실시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을 보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모니터링은 구성 및 구축의 단계를 넘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도와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Munggae Project에서 모니터링을 구축하고 클러스터의 상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찰하여 더 좋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 모니터링의 도입을 결정하였습니다. 모니터링 도구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1. Prometheus, Grafana2. ELK stack3. AWS CloudWatch4. Datadog, New Relic .. 2025.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