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

n8n - n8n은 무엇이고 왜 쓰는걸까? 안녕하세요! 복학으로 인한 블로그 글쓰기를 아주 미뤄버렸습니다.... 최근에는 CloudClub이라는 클라우드 연합 동아리에 들어가게 되어서 학교 공부와 동아리 스터디까지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스터디 내용은 github에 간간히 올리는 중이지만 스터디를 하던 중 n8n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어서따로 블로그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n8n의 자세한 설명에 대한 블로그는 아니고 진짜 왜 쓰는지?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정리한 포스트 입니다.) 요즘 클라우드, DevOps 등의 직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키워드가 바로 "자동화"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회사를 다니지 않는 저에게 자동화가 왜 중요한지? 어떤 효율을 높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간단한 "예시"로 설명을 하자면 매일마다 해야하.. 2025. 4. 13.
Munggae Project 세 번째 키워드: Monitoring Munggae Project 세 번째 키워드는 바로 모니터링 입니다. 모니터링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찰 및 분석을 실시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을 보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모니터링은 구성 및 구축의 단계를 넘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도와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Munggae Project에서 모니터링을 구축하고 클러스터의 상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찰하여 더 좋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 모니터링의 도입을 결정하였습니다. 모니터링 도구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1. Prometheus, Grafana2. ELK stack3. AWS CloudWatch4. Datadog, New Relic .. 2025. 1. 9.
Munggae Project 두 번째 키워드: CI/CD Munggae Project 두 번째 키워드는 바로 CI/CD(지속통합/지속배포) 입니다. 저는 CI/CD 파이프라인을 단순히 어려운 말로 정리하는 것보다 저만의 방식으로 정의를 한번 생각해보았는데,개발자가 로컬에서 돌리던 코드에 변경사항이 생기면 그 코드를 배포 환경까지 배송시켜주는 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더 자세한 CI/CD의 근본적인 개념은 정리 하지않고 넘어가겠습니다! (ChatGpt, 다른 블로그 정리 글들에 더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Munggae Project의 CI/CD 파이프라인 구상을 할 때 가장 중요했던 점은"풀스택 팀원이 이해하기 쉽고 진행 상황을 공유하기" 입니다. 직접 구축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프로세스로 파이프라인이 동작 진행 중이고 결과가 어떤지 직접 찾아 보는 방법이 있겠지만.. 2024. 12. 25.
Munggae Project 첫 번째 키워드: 아키텍쳐 구성 길고 길었던 약 3개월 간의 최종 프로젝트인 Munggae Project의 끝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남은 기간 및 프로젝트 종료 이후까지 이제까지 달려왔던 프로젝트의 회고록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첫 번째 키워드는 바로 아키텍쳐 구성입니다. 아키텍쳐 구성에 말씀 드리기 앞서서 이번 최종 프로젝트를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뭉게뭉게 서비스: 디스코드와 노션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커뮤니티 플랫폼  단순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아닌 현재 불편함을 느끼고 그것을 우리가 새롭게 만들어서 불편함을 없애는 것과 동시에 부가적인 기능을 통해서 더욱 향상된 커뮤니티를 만들어 보자라는 생각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들고 운영할때 아키텍쳐 구성.. 2024. 12. 23.